언론은 사회의 이면을 낱낱이 파헤치기도 하고, 마음이 따뜻해지는 소식을 전하기도 하는 소통 창구 중 하나이다. 현재 대한민국은 △일간지 약 288종 △주간지 2,896종 △인터넷 신문 약 1,040종이 존재한다. 이 중 민영 언론사 중 하나인 YTN은 한전KDN 등 정부 산하 공기업이 약 3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민영 언론사이지만 정부 산하 공기업의 지분율이 높기에 준 공영방송으로 불리며 △KBS △MBC △SBS △EBS 등과 함께 방송통신위원회 인증 재난 방송사 중 하나다. 그러나 현재 YTN은 2022년 11월 11일 윤석열 정부가 정부 산하 공기업의 지분 전체를 매각한다고 밝힌 후 지난 달 5일 매각 주관사 선정을 시작한 상태다.

  민영화란 생산성 향상을 위해 국가가 경영하던 국영기업체 혹은 법인의 경영을 민간  경영자에게 넘기는 것이다. 한전KDN에 이어 한국마사회도 지분매각을 추진하며 이에 맞서 YTN 지부는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YTN 사영화 작업을 멈추라”는 의견을 표명했다. 지난 해 9월 8일, 한전KDN과 한국마사회가 서울경제신문에 YTN 지분 매각 사전 공고를 내 구체적인 계획을 발표했다. △‘YTN 지분 30.95%를 공동 매각한다’ △‘입찰 참가신청서는 내달까지 제출해야 한다’ △‘최고가를 써낸 이가 최종 낙찰자가 된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분 인수를 승인하지 않거나 공정거래위원회가 기업결합을 통과시키지 않으면 매각이 무산될 수 있다’는 계획이었다. 지난 해 10월 23일 그랜드하얏트 서울호텔에서 ‘YTN 인수 매각’ 입찰이 진행됐으며 3,200억 원을 제시한 유진그룹이 지분 30.95%를 낙찰받았다. 방송통신위원회의 위원회의를 거쳐 지난 달, 방송통신위원회는 유진그룹의 YTN 인수를 승인했다. 이에 맞서 지난 달 13일 YTN 노동조합은 ‘법적 대응을 하겠다’고 밝혔다. 방송통신위원 대부분이 빠진 2인 체제에서 이뤄진 대주주 변경 승인은 위법이기에 승인 처분을 취소하는 본안 소송과 처분의 효력을 정지해달라는 집행 정지 신청을 제기했다.

  유진그룹이 YTN의 최대 주주가 된 현시점에서도 논란은 끊이질 않고 있다. 유진그룹은 2008년 YTN 해직사태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을 새로운 대표이사로 내정했다. 새로 선임되는 이사 중 한 명인 김백 전 YTN 상무는 해직사태 당시 ‘낙하산 사장 반대 투쟁’에 참여한 기자 6명을 해고하고 33명을 중징계한 당시 인사위원 중 한 명이다. 퇴임 후, 2022년 보수 언론단체 공정언론국민연대(공언련) 이사장을 맡아 정권에 비판적인 언론 보도를 감시하는 활동을 해온 인물이다. 이에 YTN은 김백 전 상무를 “무능력 무자격”이라 칭했고 유진그룹은 “YTN의 최대 주주로서 미래에 대한 생각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자본답게 이윤이라도 추구한다면, 김백 사장 선임은 도저히 할 수 없는 선택”이라며 유진그룹과 김백 전 상무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을 드러냈다. 그뿐만 아니라 YTN에는 노사 합의로 만든 ‘사장추천위원회’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과정 없이 사정을 내정했다는 것에 불만을 표하고 있다. 한편 유진그룹이 제안한 김백 전 상무 외에는 김원배 YTN 기자가 있다. 김 기자는 상무에 내정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사외이사로는 △김진구 유진이엔티 대표 △이연주 전 한국자유총연맹 부총재 △안창호 변호사 △마동훈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 등이 있다. 고한석 YTN 지부장은 “대체 왜 3,200억 원이나 들여 YTN을 망치려는 거냐,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밝히며 “사장을 임명하면 싸움이 끝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우리는 굴복하지 않는다. 싸움은 지금부터 시작이다.”라며 YTN의 의지를 드러냈다.

  한편 국가기간뉴스통신사 연합뉴스의 정부 지원 예산은 지난해 278억 원에서 올해 5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28억 원이나 삭감당한 추세이다. 정부가 YTN이 가진 정부 산하 공기업의 지분을 전부 포기하며 연합뉴스의 예산을 줄인 이유가 궁금해지는 상황이다. 가장 정직하고 투명해야 할 언론이 이러한 사태에 무너지지 않고 앞으로 더 나아가길 응원의 말을 보낸다.

/전현정 기자 jhj040527@naver.com

저작권자 © 글로컬캠퍼스 KU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